신문기사에 블록딜이라는 단어가 자주 보여 궁금해서 찾아봤다.
기관 사이에 이루어지는 대량 매매로 장 시작 전이나 장 마감 후 주식을 거래하는 것
많은 양의 주식이 시장에 그대로 나온다면 단기간에 폭락할게 뻔하므로 대량으로 주식을 갖고 있는 기관에서는 이를 안전하게 처분하기 위해 대량으로 매매할 상대를 찾고 해당 일자의 종가보다 몇 프로 할인해주는 조건으로 시간 외 매매로 주식을 처분하는 것이다.
그러므로 당일 해당 거래로 시장 가격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한다.
https://news.mk.co.kr/v2/economy/view.php?year=2021&no=626336
잘나가던 엔터대장주 하이브, 블록딜 매각에 급락…주가 되살아날까
사모펀드(PEF) 운용사 스틱인베스트먼트가 하이브 주식을 블록딜(시간 외 대량 매매) 방식으로 매각했다는 소식에 29일 오전 하이브 주가가 급락하고 있다. 29일 스틱인베스트먼트는 보유하고 있
news.mk.co.kr
근데 왜 블록딜 매각에 급락이라는 뉴스가 있을까?
스틱 인베스트먼트(주)는 하이브주식을 8.05% 보유에서 0.47%만 남기고 모두 시간 외 매매로 처분하였다.
(남은 주식은 유상증자로 보호예수가 걸려있어서 남긴 거라고)
그리고 6월 29일 블록딜 소식에 갭하락하였다.
아마 투자자들의 매수 심리에 이 소식이 영향을 미쳤을 거다.
앞으로도 계속 전망이 좋다면 대주주가 팔 이유가 없지 않은가.
하지만 대주주가 현재 팔 수 있는 지분을 전부 매도한다면 정보가 한정된 개인들에게는 이 정보가 고점이라는 시그널로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.
물론 해당 물량은 언제든지 나올 것으로 예상되었던 바로 악재 해소로 보는 견해도 있다.
이러한 블록딜은 기업의 펀더멘탈이 튼튼하다면 단기적으로 쉬었다 갈 수 있지만 그게 아니라면..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겠으니 지켜볼 필요가 있겠다.
'자본주의 사회 > 경제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주식 시황] 2021년 11월 22일 (0) | 2021.11.28 |
---|---|
[주식 시황] 2021년 11월 15일 (0) | 2021.11.20 |
[주식 상식] 예수금, 주문가능금액, 출금가능 금액 (0) | 2021.07.04 |
4월은 배당금 나오는 달~! 올해 배당 금액은..(현대엔지니어링/와이지원) (0) | 2021.04.25 |
페이코인으로 KFC 결제하기~(에그타르트+치킨) (0) | 2021.02.11 |